시조 권행 (權幸)은 신라 왕실의 후손으로 본래의 성은 김씨이다.
신라말 경애왕 때 신라가 극도로 부패하고 잇단 민란으로 국운이 기울어가자 927년(신라 경순왕 원년)에 후백제의 견훤이 신라를 침입 포석정에서 경애왕을 살해한다.
이에 격분한 권행은 930년(경순왕 3년) 겨울 후백제의 견훤이 대군을 몰아 이 고을에 침입하여 고려 태조와 대치했을 때 이 고을 성주 김선평(신 안동김씨 시조), 그리고 이 곳 지도급 인사 장정필(안동장씨 시조)과 의논, 함께 향병을 모으고 태조 왕건을 도와 고창군 병산(지금의 안동군 와룡면 서지리)에서 견훤의 8천 대병을 함몰시키고 병산대첩의 전공을 세운 삼태사(三太師) 중의 한 사람이다.
당시 고창은 후삼국의 전략상 중요지역이었으며, 병산에서 이들 세사람의 도움으로 승리함으로서 열세에 있던 태조 왕건이 우세해질 수 있었다.
이곳에서 있었던 병산전투의 승리는 후백제의 멸망과 신라의 항복 등 삼국통일에 큰 영향을 준 싸움이었다.
김행의 공을 가상히 여긴 고려 태조가 크게 기뻐하며 "정세를 밝게 판단하고 권도를 잘 취했다.(能炳機達權)"라며 권씨 성을 내리고 벼슬을 삼한벽상아부공신 삼중대광태사로 제수한 후 고창군을 안동부로 승격하고 식읍으로 하사하였다.
그래서 후손들이 안동을 본관으로 하였다.
-시조 권행의 묘소는 경북 안동군 서후면 성곡리 천등산 능골에 있으며 향사는 매년 한식일과 10월 중에 한다.
-삼국통일에 공을 세운 시조 권행과 김선평, 장정필을 모시기 위해 983년(고려 성종 2년)에 세운 삼태사묘는 경북 안동시 북문동 24번지에 있으며 매년 2월과 8월에 제향한다.
본관은 안동 (安東) · 예천 (醴泉)만 현존하는데 그 중 안동이 대본이며, 모두 고려 때 사성(賜姓)된 것이다. 안동권씨의 시조 행(幸)은 원래 신라의
종성(宗姓)인 김씨로 이름이 행이었는데, 930년(태조 13) 고려 태조 왕건에게 김선평(金宣平) · 장정필 (張貞弼:初諱는 吉) 등과 함께 귀부(歸附)하자
태조는 이들에게 삼한벽상공신 삼중대광태사(三韓壁上功臣三重大匡太師)라는 작위를 내리고, 김행에게는 ‘ 능병기달권 (能炳幾達權) ' 하다는 뜻으로
권씨 성을 하사하였다고 한다.
지금도 행을 안동권씨의 시조로서, 김선평을 신안동 김씨의 시조로서, 장정필을 안동 장씨의 시조로서, 이 3인을 ‘ 삼태사 (三太師) ' 라 하고 , 이들을 모시는 ‘ 삼태사묘 ' 가 안동에 있다 . 한편 예천권씨의 시조 섬(暹)은 원래 흔(昕)씨였는데, 고려 충목왕의 휘(諱)가 흔(昕)이어서 ‘ 국휘 (國諱)를 피한다 ' 하여 나라에서 그의 아버지 흔승단 (昕昇旦)이 안동권씨 백서(伯 )
의 사위이므로 백서의 딸인 어머니의 성을 좇아 권씨로 고치게 하였다 한다.
안동은 경상북도 북동부에 위치한 지명으로 , 지금의 안동 지역에 있던 부족국가 창녕국(昌寧國)을 비롯한 구령국(驅令國) · 소라국 (召羅國) 등은 초기 신라의 속국으로 되어 있다가, 그 후 신라의 고타야군(古陀耶郡)으로 고쳐졌다.
757년(경덕왕 16)에 고창군(古昌郡)으로 고쳐졌고, 930년(태조 13)에는 안동부(安東府)로 개칭 승격되었다. 시대에 따라 지명이 바뀌고 승격과 강등을 거듭하다가, 1895년(고종 32)에 23관찰부제에 따라 경상도 동북부 17개군을 관할하는 관찰부(觀察府)가 설치되었으며, 이듬해에 13도제(道制)에 따라 경상북도의 안동군(郡)으로 개편되었다.
1914년에 예안군을 병합하여 19개면으로 편성되었으나, 1931년에 안동면이 읍으로 승격됨과 동시에 일부 면의 통폐합으로 1읍 15개면이 되었다. 1963년에 안동읍이 시(市)로 승격 분리되었고, 1973년에는 풍산면이 읍으로 승격되었으며, 1974년에는 안동댐 건설로 월곡면이 폐지되었으며, 1983년에 안동군의 일부지역이 안동시로 편입되었다.
1995년 1월 안동시와 안동군이 다시 합쳐 도농복합형(都農複合型)의 통합시가 되었다. 1997년 7월 중구동과 동남동을 중구동, 명륜동과 안막동이 명륜동, 옥률동과 신흥동이 동구동, 대흥동 · 대신동 · 당북동을 서구동으로 통합하였다 .
1998년 12월 중구동과 동구동이 중구동, 용성동과 송천동이 용성동, 서구동과 강남동이 서구동으로 통합되었다.
2000년 현재 안동시는 구(舊)안동시의 중구 · 명륜 · 용성 · 태화 · 법상 · 평화 · 안기 · 옥 · 송하 · 서구의 10개동과, 풍산읍 및 와룡 · 북후 · 서후 · 풍천 · 일직 · 낙후 · 남신 · 임하 · 길안 · 임동 · 예안 · 도산 · 녹전의 1읍 13개면으로 이루어져 있다.
고려 개국과 함께 이땅에 뿌리를 내린 안동권씨는 무수한 인물들 을 배출한다 . 고려시대 추밀원부사공을 지낸 권수평(權守平)은 고려사에 청빈한 관리의 표상으로 기록된 인물,그의 아들 권위는 태자의 태사로 권씨가문 최초로 충헌(忠憲)이란 시호를 받은 인물이며, 권수평의 증손이며 찬성사 권단의 아들인 권부(權溥)는 자신을 포함해 그의 아들 5형제와 그의 사 위 3명이 모두 군(君)에 봉해져서 명성을 떨쳤다. 당대9봉군(當代九封君)은 역 사상 처음이요 마지막이라는 것이 가문의 자랑이다.
조선시대에 들어 서면서 안동권씨는 3백59명의 문과 급제자를 배출하여 찬란한 꽃 을 피운다.
· 권근 (近, 1352~1409) : 호는 양촌(陽村). 시호는 문충(文忠). 이색과 정몽주의 문하에서 학문을 배우고, 고려 공민왕 때 17세로 문과에 급제하였다. 고려 우왕 때 성균 대사성, 예의판서 등을 역임. 조선 태조 때 사병폐지를 주장하여 왕권확립에 공을 세웠다. 예문관 대제학, 대사성, 의정부 찬성사 등을 역임하였다. 왕명으로 '동국사략'을 편찬하고, '입학도설'은 후에 이황, 장현광 등에게 큰 영향을 끼쳤다. 그밖의 저서로는 양촌집, 사서오경구결 등이 있다.
· 권제 (蹄, 1387~1445) : 권근의 둘째 아들. 호는 지재(止齎), 시호는 문경(文景). 태종 때 집현전 부제학, 한성부윤을 지내고, 세종때(1429년) 명나라에 진헌사로 다녀와 경기도 관찰사가 되었다. 1435년 이조판서에 승진, 1436년 '동국연대'를 편찬하고, 다음해에 예조판서를 지내고, 지중추원사, 지춘추원사 등을 지냄. 1440년 '고려사' 편찬에 참여, 1445년(세종 27년)우찬성이 되어 정인지, 안지 등과 함께 '용비어천가'를 지어 왕에게 바침.
· 권벌 (1478~1548) : 시호는 충정. 호는 충재(沖齎). 고려 중종때 예조판서를 지냄. 선조초에 좌의정에 추증됨.
· 권철 (轍, 1503~1578) : 권율의 아버지. 명종때 3정승을 두루 지며 오랜 기간 정권에 있었으나 아무도 그의 허물을 말하는 이가 없을 정도 이었다.
· 충장공 권율 (慄, 1537~1592) : 호는 만취당. 시호는 충장. 영의정 권철의 아들. 임진왜란 때 광주 목사로 금산군 이산사에서 왜군을 대파, 전라도 순찰사로 수원 독왕산성에서 적을 대파하고, 행주산성에서 3만 대군과 싸워 적병 2만4천명의 사상자를 내게한 행주대첩의 공을 세워 도원수에 오르고 '행주치마'의 유래를 낳음. 정유재란에서도 공을 많이 세워 죽은 후에 영의정에 추증됨.
충의공 권응수(權應銖)
· 권협 (1542~1618) : 시호는 충정. 임진왜란 때 장령으로 서울 사수를 주장. 1597년 정유재란 때 고급사로 명나라에가서 원나라 군사를 끌어들이는데 성공, 귀국후 호조참의에 오르고 1604년 길창군에 봉해짐. 1607년 예조판서에 올랐으나 광해군 때 관직을 버리고 두문불출함.
· 권상하 (尙夏, 1641~1721) : 호는 수암(遂菴). 시호는 문순(文純). 조선의 학자. 송시열의 수제자. 송시열이 제주에서 사약을 받고 죽게되자 이별을 고하고 의복과 책을 유품으로 받음. 숙종이 총애하여 우의정, 좌의정에 임명하였으나 모두 사양함. 이이, 송시열로 계승된 기호학파의 지도자임. 글씨에도 뛰어남.
· 권일신 (日身, ?~1791) : 조선시대의 천주교인. 교명은 프란시스 자비에르. 실학자인 안정복(安鼎福)의 사위. 남인의 학자로 양명학(陽明學)을 연구하다 1782년(정조 6년) 이벽(李蘗)의 권유로 천주교에 입교. 1782년 청나라에서 영세를 받은 이승훈(李承薰)에게 최초로 영세를 받았다. 1787년 지금의 명동성당(1898년 축성) 부근 명례방(明禮坊)에서 이승훈, 정약전(丁若銓) 등 조선의 교인들이 모여 직제를 결성하여 조선천주교회를 창립, 주교가 되어 1789년 교우 우모(禹某)를 북경에 보내 북경에온 신부의 파견을 요청하였다. 1791년 신해박해 때 이승훈과 함께 제주도로 귀양을 갔으나 노모를 생각하여 신앙에 동요가 생겨 배교(背敎)했다.
권람(權擥)
권부(權溥)
-검교공파 : 권수중을 파조로 한다.
-광석파 : 권대의를 파조로 한다.
-군기감공파 : 군기감을 지낸 권사발을 파조로 한다.
-동정공파 : 고려 호장동정을 지낸 권체달을 파조로 한다.
-별장공파 : 고려 별장을 지낸 권영정을 파조로 한다.
-복야공파 : 고려 상서좌복야 상장군을 지낸 권수홍을 파조로 한다.
-부정공파 : 고려 식록부정을 지낸 권통의를 파조로 한다.
-부호장공파 : 고려 때 부호장을 지낸 권시중을 파조로 한다.
-수중공파 : 권수중을 파조로 한다.
-시중공파 : 고려 시중을 지낸 권인가를 파조로 한다.
-좌윤공파 : 고려 호장좌윤을 지낸 권지정을 파조로 한다.
-중윤공파 : 고려 호장중윤을 지낸 권숙원을 파조로 한다.
-호장추공파 : 고려 호장을 지낸 권추를 파조로 한다.
-추밀공파 : 추밀원부사 권수평을 파조로 한다.
1985년 인구조사 때 558,574명이 있었다.
안동 권(權) 씨는 2000년 인구주택총조사에서는 196,566 가구에 629,291 명으로 성씨내의 순위는 1 위이며 전체 본관별 인구 순위는 11 위이며, 권(權) 씨는 204,013 가구에 652,495 명으로 전체 성씨 순위는 15 위인 것으로 나타났다.
경북 안동시 법상동
경북 월성군 양북면 구길리
경북 안동군 와룡면 이하동
경북 예천군 용문면 저곡동
경북 안동군 북후면 연곡동
경북 영주시 영주동
경북 청송군 진보면 광덕동
경북 봉화군 봉화읍 유곡리
안동 (權) 안동권씨중앙종친회 02-695-2483 서울 -양천-신정5-911...(5층)
안동 안동권씨마포종친회 02-714-4500 서울 마포 -공덕-242-58(신흥연104)
안동 안동권씨석주공파종회 02-432-7273 서울 중랑 -면목8-50-46(석주빌딩5층)
안동 안동권씨전서공파종중 02-925-0227 서울 동대문 -용두-235-17(2동옥상층)
안동 안동권씨중앙종친회 02-695-2483 서울 양천 -신정5-911-2(5층)
안동 안동권씨대종회 054)857-7705 경북 안동시 북문동 24-1
안동 안동권씨대종보사 02)723-4480 서울 종로구 필운동 288-1
안동 안동권씨부산종친회 051-866-8703 부산 -연제-연산5-1141-8
안동(權) 안동권씨종중회 011-775-3983 경기도 양평군 지제면 옥현리 송현마을 snsksj@unitel.co.kr
권씨 권씨좌윤공파종중 054-455-4480 경북 -구미-고아-송림-223...
안동 안동권씨경주청년회 054-773-5118 경북 -경주-성건-683.
안동 안동권씨대종회 054-854-0705 경북 -안동-서후-성곡-393...(관리위원회)
안동 안동권씨대종회 054-857-7705 경북 -안동-북문-24...
안동 안동권씨별장공파 054-856-6009 경북 -안동-삼산-151...
안동 안동권씨부정공파보소 054-857-3519 경북 -안동-와룡-가야-762...
안동 안동권씨상주종친회 054-534-1036 경북 -상주-인봉-52...
안동 안동권씨율곡문중 054-859-0220 경북 -안동-동문-130...
안동 안동권씨정조공파회관 054-855-3090 경북 -안동-동부-114...
안동 안동권씨종친회 054-456-7003 경북 -구미-원평1-964.
안동 안동권씨화수회 054-853-3784 경북 -안동-태화-418...
안동(權) 양초녜연천공종회 02-568-7072 서울 강남구 역삼동 604-5 woonk@hotmail.com
안동(權) 좌윤공파국헌종친회 017-204-6677 서울시 강남구 청담동 65 진흥아파트 6-803 k01k01@nate.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