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디
비밀번호
회원가입  |  아이디, 비밀번호 찾기
2025년
음 : 03-09
양 : 04-06
서기:2025년
단기:4358년
불기:2569년
위아래 - 세상 끝난 뒤에도 -
 
 home > 뿌리 > 성씨의 유래 

「강남김(金)「강릉김(金)「강진김(金)「강화김(金)「개성김(金)「경산김(金)

「경주김(金)「고령김(金)「고산김(金)「고성김(金)「공주김(金)「광산김(金)

「광성김(金)「광주김(金)「교하김(金)「금릉김(金)「금산김(金)「금성김(金)

「금화김(金)「김녕김(金)「김화김(金)「나주김(金)「낙안김(金)「남양김(金)

「능주김(金)「당악김(金)「대구김(金)「덕수김(金)「도강김(金)「도광김(金)

「동래김(金)「무광김(金)「무주김(金)「문화김(金)「밀양김(金)「백천김(金)

「보령김(金)「부여김(金)「분성김(金)「사천김(金)「삼척김(金)「상산김(金)

「상주김(金)「서산김(金)「서흥김(金)「선성김(金)「설성김(金)「성산김(金)

「성은김(金)「성주김(金)「수안김(金)「수원김(金)「순천김(金)「신천김(金)

「안산김(金)「안성김(金)「안악김(金)「야성김(金)「양근김(金)「양산김(金)

「양주김(金)「언양김(金)「연안김(金)「영광김(金)「영덕김(金)「영동김(金)

「영산김(金)「영암김(金)「영양김(金)「영월김(金)「영일김(金)「영천김(金)

「예안김(金)「오천김(金)「옥천김(金)「온양김(金)「용궁김(金)「우봉김(金)

「울산김(金)「원주김(金)「월성김(金)「의령김(金)「의성김(金)「이천김(金)

「일성김(金)「적성김(金)「전주김(金)「정주김(金)「진도김(金)「진위김(金)

「진주김(金)「진천김(金)「창원김(金)「창평김(金)「청도김(金)「청주김(金)

「청풍김(金)「충주김(金)「태원김(金)「통천김(金)「파평김(金)「평산김(金)

「평양김(金)「풍산김(金)「풍천김(金)「함양김(金)「함영김(金)「함창김(金)

「함평김(金)「합천김(金)「해주김(金)「해평김(金)「해풍김(金)「홍주김(金)

「화순김(金)「김제김(金)「희천김(온양金)

「김해김(가락金)「김해김(김염金)「김해김(우록金)「당악김(해남金)

「부안김(부령金)「선산김(일선金)「신안동김(金)  「구안동김(金)

김흥광 (金興光)
대표적인 명문으로 손꼽히는 광산김씨는 신라왕실의 후예인 김흥광 (金興光)이 장차 국난이 일어날 것을 미리 알고 경주를 떠나 광주의 서일동[담양군 평장동]에 은거하였으며 고려조에서 정2품인 평장사(平章事)를 많이 배출하여 마을이름을 평장동이라 불렀다.

광산김씨 정유대동보에 의하면 시조 김흥광은 신라 45대 문무왕의 아들로 기록되어 있으며, [조선씨족통]보에는 49대 헌강왕의 셋째아들로 기록되어 있다.
그러므로 정확한 상고[詳考]는 할 수 없으나, 신라의 왕자임에는 틀림없다고 본다.
시조 김흥광 (金興光)은 신라 신무왕(神武王)의 세째 아들이다.
그는 신라(新羅)가 장차 국난(國亂)이 있을 것을 미리 알고 경주를 떠나 광주 서일동(光州西一洞 : 현 담양군 평장동)에 자리를 잡고 그곳에서 자연과 더불어 학분을 닦으며 살았다.
그리하여 그 후손들이 선조의 세거지인 광산(光山 : 광주)으을 본관으로 삼아 세계를 이어 왔다. 그의 후손들이 누대에 걸쳐 평장사(平章事 : 정2품 벼슬)가 계속 8명이 배출되자 사람들이 그곳을 평장동(平章洞)이라 불렀다.

광산 김씨는 조선시대에 총 265명의 문과 급제자를 배출하였으며, 여기에서 정승이 5명, 대제학이 7명, 청백리가 4명, 왕비가 1명이 나왔는데, 특히 대제학 7명은 광산 김씨를 더욱 빛나게 한 사계(沙溪) 김장생(長生)의 자손이다.
광산 (光山)은 전라남도(全羅南道)에 위치하는 지명으로, 백제 때의 무진주(武珍州)로, 757년(경덕왕 16)에 무주(武州)로 고치고, 892년(진성여왕 6) 후백제 견훤(甄萱)이 이곳에 도읍을 정한 바 있으나, 그 뒤에 곧 전주(全州)로 옮겼다. 918년(태조 19) 지금의 명칭인 광주(光州)로 이름을 바꾸었다. 996년(성종 15)에 강등하여 자사(刺史)를 두고, 뒤에 다시 해양현(海陽縣)으로 강등하여 현령(縣令)을 두었다. 1259년(고종 46)에 공신(功臣) 김인준(金仁俊)의 외향이라는 이유로 승격하여 지익주사(知翼州事)를 두었다가, 뒤에 다시 승격하여 광주목(光川牧)을 두었다. 1362년(공민왕 11)에 무진부(茂珍府)로 고치고, 1372년(공민왕 21)에 다시 광주라 칭하여 목(牧)을 두었다.

1430년(세종 12)에 무진군(茂珍郡)으로 강등하고, 1489년(성종 20)에 현(縣)으로 고쳤다가, 1501년(연산군 7) 다시 주(州)가 되었다. 1895년(고종 32)에 다시 광주군(光州郡)이 되었다가, 1935년 광주군 내의 광주읍(光州邑)이 부(府)로 승격됨에 따라 광산군이 되고, 1937년 송정면이 송정읍으로, 1986년 송정읍이 송정시로 승격되었다. 1988년 1월 비아(飛鴉) · 하남 (河南) · 임곡 (林谷) · 동곡 (東谷) · 평동 (平洞) · 삼도 (三道) · 본량 (本良) · 대촌 (大村) · 서창면 (西倉面) 등 9개면이 광주직할시(현 광주광역시)에 병합되었다.
10세손 김체의 아들 김위(金位)와 김주영(金珠永) 형제 대에서 크게 두갈래로 나뉘어져 김광세(金光世)와 김광존(金光存)의 양대산맥으로 이어진다.

김광세는 중랑장(中郞將)을 지내고 상서좌복야(尙書左僕射)에 추증되고 그의 아들 김경량(金鏡亮)이 대장군(大將軍)에 올랐고, 손자 김수(金須)는 삼별초의 난 때 순절하였으며, 김주정(金周鼎)은 고려 충렬왕 때 동지밀직사사(同知密直司事)를 역임하였다.
김수의 손자인 김광재(金光載 : 문정공 김태현의 셋째 아들)는 공민왕 때 난정이 시작되자 두문불출하였으며 어머니가 죽자 무덤가에 여막(廬幕)을 짓고 거상(居喪)하니 왕이 그의 효성을 가상히 여겨 그가 사는 곳에 영창방효자리(靈昌坊孝子里)라는 정표(旌表)를 세우게 했다.
세종 때에 공조판서(工曹判書)를 지낸 김예몽(金禮蒙)의 아들 김성원(金性源)은 세조 때 동국여지승람(東國與之勝覽)을 편찬했고, 손자 김구(金絿)는 중종 때 조광조(趙光祖)의 혁신정치에 동조한 소장파로 김정(金淨), 김식(金湜), 한충(韓忠) 등과 더불어 기묘명현(己卯名賢)으로 일컬어졌으며 뛰어난 필법과 명문장으로 외교문서를 집필했고 그가 살던 인수방(仁壽坊)의 마을 이름을 붙여 인수체(仁壽體)란 필체가 생겨났다. 당적보(黨籍譜)에 의하면 김구(金絿)는 중국 사람들이 자기의 글씨를 귀중히 안다는 말을 듣고는 글씨를 쓰지 않아 세상에 남은 것이 별로 없다고 한다.
중종 때의 우의정(右議政) 김극성(金克成)은 30여 년간 벼슬에 있으면서 경륜과 계책이 비상하여 조정에서 명성을 날렸다.

김광존의 인맥을 살펴보면 그의 현손 김진이 대제학(大提學)에 올랐고, 김진의 증손 김약채(金若采)에서부터 조선 시대의 명맥이 이어졌다.
고려말에 문과에 급제한 김약채는 대사헌(大司憲)을 거쳐 충청도 도관찰사(忠淸道都觀察使)를 지냈고, 그의 동생 김약항(金若恒)은 공민왕 때 대사성(大司成)으로
사신이 되어 명나라에 갔다가 표문(表文)이 공손치 못하다고 하여 황제의 노여움을 사서 양자강변에 유배되었다가 마침내 돌아오지 못하였다. 뒤에 황제의 노여움이 풀려 가족에게 시체를 찾아가라고 하여 늙은 여종이 부인이라고 핑계하고 남경까지 가서 시체를 찾아왔다. "용재총화"에 보면 김약항의 아들 김처(金處)는 아버지가 외국에서 죽었으므로 충격을 받아 미친병이 들어 소리내어 울고 밤에는 싯귀(詩句)를 길게 읊으면서 잠시도 쉬지 않고 비틀거리고 다녔으며, 김허(金虛)는 벼슬이 부정(副正)에 이르렀고 효성이 지극하여 어머니 상을 당하자 여막(廬幕) 벽에다가 효경(孝經)의 상친장(喪親章)을 써서 붙이고 날마다 바라보며 읽고 눈물을 흘리며 목이 메이도록 울기를 3년동안 조금도 쉬지 않았으니 그 비참하게 우는 소리에 듣는 사람이 눈물을 지었다고 한다.

김약채의 증손자 김국광(金國光)은 성종 때 좌의정(左議政)이 되고 좌리일등공신(佐理一等功臣)으로 광산부원군(光山府院君)에 봉해졌으며, 일찍이 황희(黃喜)가 그를 한번 보고 큰 인물로 인정하여 자기 손녀(孫女 : 소윤 황보 신의 딸)로서 아내로 삼아 주었고 "작게 성취할 사람은 아니다"하고 그를 대할 때 반드시 갓을 썼다고 한다. 세조가 상정국(詳定局)을 열어 당시의 학문이 뛰어난 신하를 뽑아 조종의 옛 제도를 참작하고 시대의 사정에 맞게 가려내어 "경국대전(經國大典)"을 편찬할 때 그도 뽑히어 뛰어난 업적을 남겨 세조가 "국광같은 사람은 참으로 문과 무 를 겸비한 재사이다" 하고 "사지제일(事知第一)"이라는 친필을 써주며 칭찬을 아끼지 않았고, 어느 날은 편전에 있으면서 손수 자기 밥을 떠 먹여 주었다고 한다.

김국광의 동생 김겸광(金謙光)은 성종 때 이시애(李施愛)의 난을 평정 하는 데 공을 세워 좌리삼등공신(佐理三等功臣)으로 광성군(光城君)에 봉해졌다.
김국광의 아들 김극뉴는 대사간(大司諫)을, 김극복(金克福)은 찬성(贊成)을 역임하였다.
김겸광의 아들 김극핍은 연산군 때 바른 말을 하다가 갑자사화(甲子士禍)에 연루되어 고산현(高山縣)으로 유배되었고 권신 김안로(金安老)의 탄핵을 받아 일생을 귀양지에서 생활했었다.
김극뉴의 손자 김개(金鎧)는 명종 때 호조판서(戶曹判書)에 오르고 청백리(淸白吏)에 녹선되었으며, 증손 김계휘(金繼輝)는 선조 때 대사헌(大司憲)을 역임하고 성리학(性理學)과 예학(禮學)에 능통하여 국사가 있을 때마다 자문에 응했다.
김계휘의 동생 김은휘(金殷輝)가 일찍이 초야에 있었을 때의 일이다. 광해군이 세자로서 동궁에 거처하게 되자 세자빈의 아버지인 류자신(柳自新)이 궁중의 서헌(西軒)에 거처하고 있었다. 그러자 김은휘(金殷輝)는 그의 무례함을 논책하면서 왕봉(王鳳 : 한나라 성제의 외삼촌으로 정권을 잡아서 무례한 행동으로 임금의 거처인 궁정을 빌린 일이 있었다)의 고사에 비교하니 깜짝 놀라서 피하였다고 한다. 특히 그는 송익필(宋翼弼)이 아버지인 송사련(宋祀連)의 잘못으로 세론의 증오를 받아 멸문의 궁지에 몰리자 10년 동안이나 먹여 살려 선조의 잘못으로 누를 입는 현량(賢良)들을 그늘에서 구원하였다.

사계(沙溪) 김장생(金長生)은 조선 예학(禮學)의 종주(宗主)로 가문에 명문의 뿌리를 더욱 깊이 내리게 한 장본인이다. 1548년(명종 3년) 대사헌(大司憲) 김계휘(金繼輝)의 아들로 태어나 당대에 8문장가로 이름난 송익필에게 예학을 배우고 석학(碩學) 이율곡(李栗谷)에게 성리학을 전수받아 영남학파(嶺南學派)와 쌍벽을 이룬 기호학파(畿湖學派)의 영수가 되었다. 천성이 겸손하며 어질고 후하여 자연히 도(道)에 가깝고 학문하는 방법은 한결같이 종자(種子)와 주자(朱子)를 법으로 삼아 세상살이의 화려함을 싫어하였으며 당시의 예(禮)에 관한 질문은 모두 그에게로 왔다. 인조반정 때 맨 먼저 장령(掌令)에 임명하면서 안거(安車 : 늙고 병든 사람이 편안하게 탈 수 있는 수레)와 임금의 친서를 보내 불렀으나 응하지 않았으며 병든 몸으로 여러 훈신들에게 글을 보내기를 "시종(始終) 삼가하여 임금의 덕을 잘 보도하며 묵은 폐단을 개혁하고 형벌을 신중히 하며 공도(公道)를 넓히고 사사로이 가까운 내시, 궁녀 등을 경계하며 염치를 존중하고 검약을 몸소하라"고 하였다. 마침내 그의 글이 임금에게까지 알려지고, 임금이 그의 재능과 덕망을 정치에 이용하고 싶어 초조해 했다고 한다.
벼슬은 가의대부(嘉義大夫)로 형조 참판(刑曹參判)에 그쳤으며 83세에 연산에서 생을 마치며 후손에게 다음 두 가지 유언을 남겼으니, "첫째 영정(影幀)은 머리칼 하나가 틀려도 제 모습이 아니니 쓰지말 것, 둘째 내 자손이 수십대에 이르더라도 의(誼)를 두터이 지낼 것" 이었다. 그가 남긴 "경서변의(經書辯疑)" 8권, "의례문해(疑禮問解)" 8권, "근사록석의(近思錄釋疑)" 1권, "가례집람(家禮集覽)" 3권, "상례비요(喪禮備要)" 1권 등 총21권의 저서는 한국의 예전(禮典)으로 평가된다.

김장생의 예학은 아들 김집(金集)에게 이어지고 송시열(宋時烈), 송준길(宋浚吉)에게 전승되어 조선 예학의 태두로 예학파의 주류를 형성했다.
김집은 어려서부터 성품이 남보다 특이하여 충신효제(忠信孝悌)로서 몸을 세우는 근본을 삼았으며, 이치를 탐구하고 경(敬)를 주장하는 것으로 도학의 터전을 삼았다.
1646년(인조 24년) 산적 류탁(柳濯) 등이 난을 일으켰는데 그 무리들에게 류탁이 말하기를 "김승지(金丞旨 : 김집)의 집을 지나가서는 안된다"고 하였다. 임금이 이 말을 듣고 신하들에게 이르기를 "흉악한 무리들도 어진 사람을 두려워 하고 피할 줄은 안다"하였다.
그는 아버지 김장생을 40여 년간 모셨는데 그 부자의 법도를 지켜 아들이 질문했을 때 아버지는 몸이 앓는 일이 있어도 단정히 앉아서 대답한 것이라든지, 각상(各床)과 각방(各房)에서 밥을 먹을 때 아버지의 젓가락 놓는 소리를 듣지 않고는 미리 밥상을 물리는 법이 없었다는 일화를 남기기도 했다. 그는 부인 유씨(兪氏)의 성품이 분명하지 못하여 부부의 도리를 갖출 수가 없어 마침내 이율곡(李栗谷)의 서녀(庶女)를 얻어 첩을 삼았는데 어질고 여공(女工)을 잘하였다. 유씨 부인이 죽자 그의 아버지 김장생은 아들이 상처하였으니 후처를 얻어 아들을 낳아서 선대를 계승할 수 있겠다고 속으로 좋아하였다. 그러나 그는 "사람이 각각 운명이 있는 법인데 운명이 좋지 않아서 먼저 사람(유씨)과 짝이 되어 평생동안 욕을 보았는데 이제 비록 다시 장가 든다고 하여도 꼭 먼저 사람보다 나을 줄 알겠습니까?" 하며 대를 잇지 못하였다.

이조참판(吏曹參判) 김반(金槃: 김집의 동생)의 아들 김익희(金益熙)는 병자호란(丙子胡亂) 때 척화론자(斥和論者)로서 화의를 반대했고 왕을 호위하여 남한산성에 가서 독전어사(督戰御史)로 싸웠으며, 그의 동생 김익겸(金益兼)은 병자호란 때 어머니 서씨(徐氏)를 데리고 강에 들어가 성을 사수하다가 함락되기 직전에 김상용(金尙容)과 함께 남문에 올라가 자폭하여 영의정에 추증되고 광원부원군(光源府院君)에 추봉되었다.

숙종때 경신대출척(庚申大黜陟)의 주역인 김익훈(金益勳 : 김반의 아들로 김익겸의 동생)은 기사환국(己巳換局)으로 남인이 정권을 다시 잡자 강계로 유배되었다.
현종 때의 예조참판(禮曹參判) 김익경(金益炅)은 죽은 인선왕후(仁宣王后)에 대한 자의대비(慈懿大妃)의 복상(服喪) 문제에 송시열 등과 함께 대공설(大功說)을 주장하다가 양성(陽城)으로 귀양갔다.
인경왕후(仁敬王后 : 숙종의 비)의 아버지인 김만기(金萬基)와 효자 김만중(金萬重)은 김익겸의 아들로서 형제가 나란히 대제학(大提學)을 역임한 명신이다.

특히 김만중은 유복자로 태어남을 평생의 한으로 삼고 홀어머니 윤씨(尹氏)의 곁을 한 번도 떠난 적이 없었다고 하며 어머니를 즐겁게 해주기 위하여 밤낮으로 어머니와 얘기하며 동물 흉내와 어린이 흉내까지 내었다는 일화가 유명하다. 남해의 유배지에서 쓴 한글소설 "구운몽(九雲夢)"은 부귀공명이 일장춘몽이란 내용으로 그의 어머니를 위로하기 위하여 썼다고 한다.

그밖의 인물로는 중종의 딸 혜순옹주(惠順翁主)와 혼인하여 광천위(光川慰)에 봉해진 김인경(金仁慶)과 이황(李滉)의 문인으로 안동지방의 학문융성 창도자로 알려진 김언기(金彦璣)가 유명했고, 전적(典籍) 김세우(金世愚)의 아들 김규는 명종 때 문과에 장원하여 벼슬이 판윤(判尹)에 이르렀다.

임진왜란의 명장 김덕령(金德齡)은 충절로 가문을 빛낸 자랑스런 인물이다. 그는 1567년(명종 22년) 광주 석지촌에서 김붕섭(金鵬燮)의 아들로 태어나 성리학의 대가인 성혼(成渾)의 문하에서 학문을 연마하였으며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장성 현감(長城縣監) 이귀(李貴)의 천거로 익호장군(翼虎將軍)의 호를 받고 의병을 정돈하여 선전관(宣傳官)이 되어 권율(權慄)의 휘하에서 수차에 걸친 전쟁에 공을 세웠다.
그는 젊어서부터 뛰어난 용맹으로 명성을 떨쳤으며, 일찍이 이귀(李貴)가 그를 천거하는 글에 "지혜는 공명과 같고 용맹은 관우보다 낫다"고 하였다. 1596년(선조 29년) 이몽학(李夢鶴)이 홍산(鴻山)에서 반란을 일으켰을 때 이를 토벌하려다가 이미 진압되어 도중에 회군했음에도 불구하고 이몽학과 내통했다는 신경행(辛景行 : 당시 충청도 순찰사 종사관)의 무고로 국문을 받다가 옥사했다. 그가 임전했을 때는 항상 철퇴 두개를 허리에 차고 다녔는데 그 무게가 백근이나 되어 팔도에서 그를 신장(神將)이라 불렀고, 왜군들도 그의 용맹을 무척 두려워 했다고 한다. "난중잡록(亂中雜錄)"에 의하면 왜장 기요마사(加藤淸正)는 그 명성을 듣고 몰래 화가를 보내어 그 얼굴을 그려다가 보고는 "참으로 훌륭한 장군이다"하고 항상 계엄하였고, 뒤에 김덕령이 죽었다는 소식을 듣고는 술을 마시고 기뻐 날뛰면서 "이제 양호(兩湖)는 걱정이 없다"고 했다 한다.

임진왜란 때의 김만수(金萬壽), 김천수(金千壽), 김백수(金百壽), 김구수(金九壽) 4형제는 의병을 일으켜 유극량(劉克良)의 군대와 장단에서 합세하여 임진강 전투에서 공을 세웠으며, 김광운(金光運)과 김두남(金斗南)은 진주 전투에서 장렬하게 순절하였고, 선조 때 대북의 지도자였던 김질간(金質幹 : 이조 참판을 역임)은 "동몽훈설(童蒙訓說)"을 저술한 김진우(金震羽), 호남 8문장의 한 사람인 김공선(金公善) 등과 함께 이름을 떨쳤다.

그외 선조 때 포도시(葡萄詩)로 중국에까지 명성을 떨쳤던 김영남(金潁南)과 숙종 때 예서에 능했고 "옥산유고(玉山遺稿)"를 남겼던 김우형(金宇亨 : 공조판서를 지내고 기로소에 들어감)이 뛰어났으며, 김진(金搢)은 정주 목사(定州牧使)를 지내고 볼모로 심양에 갔다가 두문불출하고 학문에만 진력했다.
영조 때 알성문과에 급제한 김양택(金陽澤)은 부제학(副提學)과 대사성(大司成), 우의정을 거쳐 1776년(영조 52년) 영의정에 올랐으며, 김상복(金相福)은 영의정을 역임하고 영중추부사(領中樞府事)에 전임되었다.

한말에 와서는 금위대장(禁衛大將) 김기석(金箕錫)과 학문과 덕망이 높아 사림의 추앙을 받았던 김지수(金志洙) 등이 가문의 맥을 이었고, 김재풍은 친러시아파 세력에 쥐어 허덕이는 국권을 회복하는데 앞장서서 한말 풍운에서 고절(古節)있는 대인(大人)으로 추앙받았다. 김익현(金翼鉉)의 아들인 김영덕(金永悳)은 국운이 기울어가는 한말에 죽음으로써 한일합방을 반대하여 독립운동에 일생을 바친 김영숙(金永肅)과 함께 명문 광산김씨를 더욱 빛냈다.
낭간공파 (郎簡公派)
낭장공파(郎將公派)
문숙공파(文肅公派)
문정공파(文定公派)
사온직장공파(司온直長公派)
1985년 인구조사에서는 750,701명이 있었다.
광산 김(金) 씨는 2000년 인구주택총조사에서는 258,936 가구에 837,008 명으로 성씨내의 순위는 3 위이며 전체 본관별 인구 순위는 8 위이며, 김(金) 씨는 3,102,537 가구에 9,925,949 명으로 전체 성씨 순위는 1 위인 것으로 나타났다.
강원도 회양군 내금강면 일원
전남 나주군 왕곡면 옥곡리

충남 논산군 일원
경북 안동군 풍천면 신성동

전북 고창군 일원
제주도 남제주군 성산읍 난산리

전남 보성군 겸백면 용산리
황해도 봉산군 서종면 대한리

전남 영암군 군서면 모정리
경주 (金)    경주김씨대종친회    02-393-3429    서울   
삼척(金)    삼척김씨재경종친회    02-2234-3531    서울 -동대문-신설103(광일빌딩1층105호)   
가락    (사단)가락중앙종친회    02-714-7459...    서울 -마포-신공덕-6...   
가락    가락구로구종친회    02-864-5522    서울 -구로-구로4-806...(1층)   
가락노원구종친회    가락노원구종친회    02-933-4292    서울 -노원-중계본-18...(1동1/1)   
가락    가락도봉종친회    02-989-8227    서울 -강북-미아3-190...(현대상가301호)   
가락    가락서울시종친회    02-671-7552    서울 -영등포-당산동3-558...(가락회관201)  
가락    가락용산구종친회    02-712-3156    서울 -용산-서계-95...(7/7)   
경주(金)    경주김씨대종친회    02-393-5429    서울 -중-만리동1-53...(서부B/D301호)
경주(金)    경주김씨종친회    02-2295-7709    서울 -성동-행당1-295...(순흥목재2층)
광산(金)    광산김씨광성군종종    02-2201-2816    서울 -광진-구의-596...(동방빌딩7층관리실)
광산(金)    광산김씨대종회    02-715-5800    서울 -마포-용강-43...(광산회관4층)
광산(金)    광산김씨사온직장공파종중    02-886-7253    서울 관악 -신림5-1415-21(2층첫번째)
광산(金)    광산김씨전리판서공파종친회    02-715-1221    서울 용산 -원효로2-1(원호텔802)   
광산(金)    광산김씨중앙청년회    02-713-4064    서울   
광주(金)    광주김씨종친회    02-723-4879    서울   
금능(金)    금능김씨종친회    02-733-8739    서울   
김녕(金)    김녕김씨서울종친회    02-586-0307    서울   
김녕(金)    김녕김씨충의공파대종회    02-3482-0703~4    서울 -서초반포19(고속터미널5층11호)
김해(金)    김해김씨안경공파종회    02-2235-1352    서울   
김해(金)    김해김씨족보간행위원회    02-764-4900    서울 -종로-종로5-85-3(경일빌딩601호)   
나주(金)    나주김씨종친회중앙회    02-2213-0741    서울 -동대문-답십리-961...(송화빌딩512호)
삼척(金)    삼척김씨재경종친회    02-2234-3531    서울   
서흥(金)    서흥김씨대종회서울화수회    02-3672-1485    서울 -종로-효제-320...(효성한의원)   
선산(金)    선산김씨대종회    02-2253-1500    서울   
순천    순천김씨중앙종친회    02-400-2502    서울 송파 -가락본-78-1(한화빌딩303호)  
안동    안동김씨대종회    02-2244-3717    서울 동대문 -휘경-112-49((2층)   
안동    안동김씨서운관정공파종중    02-843-3044    서울 동작 -신대방-498-5(안동김씨서운관정공파회관2층)   
안동    안동김씨서운관정공파종중회    02-843-1750    서울 동작 -신대방-498-5(보라매회관2층)
안동    안동김씨화수회    02-465-0727    서울 성동 -성수1가-671-169(지하)   
언양    언양김씨종친회    02-717-2295    서울 용산 -원효로2-18-4(세명빌딩301호)   
연안    연안김씨종회    02-871-9154    서울 관악 -신림본-10-388(본동연진빌10-388)
울산    울산김씨대종회    02-362-9650    서울 서대문 -충정로3-139(동아일보3층사사편찬실)   
원주    원주김씨감찰공파    02-690-0555    서울 강서 -화곡2-858-12(3층)   
의성    의성김씨종친회    02-796-5323    서울 -용산-한강로2-390...(영월빌403)  
전주    전주김씨중앙종친회    02-2298-9464    서울 성동 -행당1-319-36(무학빌딩414호)   
나주    나주김씨종친회    02 - 2213 - 0741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답십리 962-2 송화빌딩 512호
나주    나주김씨종친회    02 - 2213 - 0741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답십리 962-2 송화빌딩 512호
경주    경주김씨계림군파 대종회    02) 313-6050    서울특별시 중구 중림동 136번지   
풍산    풍산김씨중앙종친회    02-753-8943    서울 -중-다-131...(삼덕빌딩702호)
해풍    해풍김씨대종회    02-677-0809    서울 -영등포-당산동3-249(해풍김씨대종회)   
강릉    강릉김씨부산종친회    051-807-2587    부산 -부산진-전포2-878-26(강릉김씨종친회)   
광산    광산김씨부산종친위원회무소    051-633-3841    부산 -남-문현4-815...(한일오피스텔1821호)
김녕    김녕김씨부산종친회    051-645-4142    부산 -동-범일2-830...(삼환O/T908호)   
김녕    김녕김씨서구종친회    051-241-0503    부산 -서-부용동1-66...(영남빌딩10층)   
김녕    김녕김씨유두문중화수회    051-469-5778    부산 -중-중앙동4-85...(해원빌딩관리)   
김녕    김녕김씨참찬공파계종문중회    051-703-7790    부산 -해운대-송정-180-4
김녕    김녕김씨충의공파휘복후문중회    051-503-1497    부산 -연제-거제1-1497...(7층)   
김녕    김녕김씨화수회    051-324-9332    부산 -사상-모라2-115...(2-5신선사)   
안동    안동김씨부산청년회    051-469-0052    부산 -중-중앙동4-40...(남양빌딩501호)  
안동    안동김씨부산화수회    051-634-1881    부산 -동-범일2-830...(자유시장413호)   
우봉    우봉김씨대연공파종중회    051-722-4799    부산 -기장-철마-백길-182   
의성    의성김씨종친회    051-634-8111    부산 -동-범일2-830...(자유시장311-2)   
청도    청도김씨대종친회    051-868-5966    부산 -부산진-양정2-331-14(청도김씨대종친회2층)
김해    가락김해김씨종친회관    053-959-8868    대구 -동-신암4-325-6(2층)   
가락    가락대구광역시종친회    053-572-3334    대구 -서-비산2-35...(대기주유소2층)  
가락    가락대구종친회    053-354-4011    대구 -북-고성2-27   
경주    경주김씨대구직할시청년회    053-421-0767    대구 -중-대봉1-55...(대구맨션A-501)   
경주    경주김씨종친위원회무실    053-423-1199    대구 -중-대봉1-55...(대구맨션-A-502)
경주    경주김씨참의공파문중    053-784-7119    대구 수성 -범물1-1271-2(사무실)   
경주    경주김씨호은공 (휘영해)종친회    053-324-1560    대구 -북-국우-24...   
김령    김령김씨경북종친회    053-958-5637    대구 -동-신암4-258-7...(김녕김씨종친회관)   
언양(彦陽)    언양김씨대종회    02-989-3031~2    서울강북구미아 3동218-1 언얀김씨회관    www.unyangkim.or.kr
선산(일선金)    선산 (일선)김씨 카페    016-317-8903    http://cafe.naver.com/sunsankim    skkim119@naver.com
선산(일선金)    선산김씨 대종회    02-2234-2500    http://www.sunsankim.net/index.htm    sunkimseoul@hanmail.net
선산(일선金)    대구 대종회 사무소    053-741-7300    홈페이지 : http://www.sunsankim.net/index.htm    sunkimdaegu@hanmail.net
무장(茂長)    무장김씨 강화파    032-932-5677       kji8850@hanmail.net   
무장 (茂長)    무장김씨 강화파    032-932-5677       kji8850@hanmail.net
무장(茂長)    무장김씨 강화파    032-932-5677       kji8850@hanmail.net
영암(金)    영암김씨 종친회    031-974-7983    경기 고양시 덕양구 도내동 737-12    robotec3@hotmail.com
영암(金)    영암김씨 종친회    031-971-7985    경기 고양시 덕양구 도내동 737-12    robotec3@hotmail.com
삼천(金)s    1    1    1    1
언양(金)    언양김씨대종회    02-989-3031~2    서울강북구미아 3동218-1 언양김씨회관5층1호   
김해    김해김씨 사군파    (062)514-9937    광주광역시 북구 중흥동 537-37 가승회관   
언양(金)    준웅건네    031-728-1203    성남시분당구구미동까치마을롯데선경아파트 414-1804    wellk@lycos.co.kr
김해(가락金)    김해김씨삼현파내송문중    051-514-0260    부산시금정구장전동 333-5    kyg8904@yahoo.co.kr
공주(金)    공주김씨    011-9595-4171    경북 의성군 의성읍 후죽리 592-17    kim10189@hanmail.net
공주(金)    공주김씨    011-9595-4171    경북 의성군 의성읍 후죽리 592-17    kim10189@hanmail.net
강릉    강릉김씨종친회    02-3675-7500    서울 -종로-낙원-284-6(낙원빌아10층15강릉김씨재경)
경주    경주김씨상촌공파대종회    031-718-2636    경기 -광주-오포-신현-997...(해세드빌라301호)
가락    가락용인군종친회    031-336-4915    경기 -용인-김량장-312...(삼원전기2층)   
경주    경주김씨갈천공종친회    031-282-6688    경기 -용인-기흥-신갈-65   
경주    경주김씨남곡공파종중    031-263-3532    경기 -용인-수지-죽전-924...(상가건물1층)   
김해    김해김씨제성공파종친회    031-333-1193    경기 -용인-백암-석천(산)-10...(조비산가든)
안동    안동김씨 대종회    2244-3717    서울시 동대문구 휘경 1동 112-49호   
경주    경주김씨종친회    032-546-3488    인천 -계양-효성-220...(뉴서울A-304-207)   
김녕    김녕김씨인천종친회    032-429-6054    인천 -남-주안4-434...(이동환치과3층)   
가락    가락광주직할시종친회    062-232-5886    광주 -동-궁-45...(가락광주종친)   
가락    가락전라남도종친회    062-227-7177    광주 -동-수기-68-1(가락전남종친회)   
가락    가락회관    062-942-5977    광주-광산-송정-819-35   
광산    광산김씨    062-943-5508    광주 -광산-송정-712...   
광산    광산김씨광주전남종친회    062-225-0085    광주 -동-금남로1-1...(전일별관빌딩2층)   
광산    광산김씨미양공회관    062-676-5517    광주-남-방림-135-1(광산김씨미양공회관)   
광산    광산김씨오재회관    062-262-5042    광주-북-오치-578-12(3층)   
김령    김령김씨충의공파금리종중    062-511-9113    광주-북-신안-8-4(지하)   
김해    김해김씨문중회    062-527-1450    광주 -북-우산-559...   
김해    김해김씨사군파대종회    062-512-2521    광주 -북-중흥1-700...(가승회관빌딩3층1호)   
김해    김해김씨삼현파전남도분회    062-265-8033    광주-북-각화-54   
김해    김해김씨시중공파미산종중    062-362-2605    광주 -서-양-69...(오성빌딩2층)   
김해    김해김씨시중공파종친회    062-369-7552    광주-서-농성1-638-22(지하)
선산    선산김씨광주전남종친회    062-232-9922    광주-동-수기-23-2   
순천    순천김씨진사공파    062-956-1670    광주 -광산-도천-628...(중흥파크A-110-505)   
울산    울산김씨광주종친회    062-523-1235    광주-북-중흥-805-19   
경주    경주김씨문중제실    054-833-1658    경북 -의성-금성-구련-605...(2리)   
경주    경주김씨안동시종친회    054-822-4131    경북 -안동-임하-오대-168...(1리)   
경주    경주김씨영분공파시철종문회    054-243-0841    경북 -포항-북-신광-사정-496...
경주    경주김씨종중    054-955-3743    경북 -고령-고령-지산-114...   
경주    경주김씨종친회    054-749-7361    경북 -경주-노서-151...(1층)   
광산    광산김씨안동종친회    054-855-5605    경북 -안동-와룡-오천-408...   
김녕    김녕김씨종친회    054-682-4260    경북 -영양-영양-서부-107...   
선산    선산김씨원당파종중    054-456-1833    경북 -구미-송정-443...(2층)   
선산    선산김씨판서공파총친회    054-451-3650    경북 -구미-고아-원호-184...  
신라    신라김씨종친회    054-771-7435    경북 -경주-충효-2987...   
안동    안동김씨종회소    054-857-9599    경북 -안동-목성-49..   
안동    안동김씨참봉공파계련문중    054-821-9608    경북 -안동-용상-559...(용헌회관)
안동    안동김씨청년회    054-841-0349    경북 -안동-목성-49...   
의성    의성김씨대동    054-834-2550    경북 -의성-의성-상-675...   
의성    의성김씨회관    054-857-2863    경북 -안동-광석-17...   
양근(金)    야근김씨 (익화공파)    02-924-1040    서울시 성북구 돈암 1동45-47호 2층    kds10022yahoo.co.kr
양근(金)    양근 (익화군파)    02-924-5339    서울시 성북구 돈암 1동 45-47호 2층    KDS10022YAHOO.CO.KR
안성(金)    안성김씨 화수회    02-544-3344    서울 -강남-논현2-230-5(4층)   
개성    개성김씨 중앙종친회    02-775-3811~4    서울특별시 중구 회현 1가127번지   
김해    김해김씨족보간행위원회    02-764-4900    서울 -종로-종로5-85...(경일빌딩601호)   
김해    김해김씨족보사무소    063-442-3466    전북 -군산-금암-274   
양근(金)    양근김씨    02-924-1040    서울시 성북구 돈암 1동 45-47호 2층    KDS1002@YAHOO.CO.KR
경주(金)    경주김시영분공후호조참의공파    063-466-6605    전북 군산시 회현면 학당리 풍성마을   
안산(金)    안산 (金)씨 종친회    02)694-5470    서울시 관악구 봉천동 647-141번지   
김해(가락金)    김해김씨안경공파종회    02-462-2180    서울시 광진구 군자동 473-11   
의성(金)    의성김씨종친회    02-796-5323    서울시 용산구 한강로 2 390-1   
청주(金)    청주김씨종친회    055-636-1971    경남거제시    malheek@yahoo.co.kr
영광    영광김씨제각    061-863-2025    전남 -장흥-부산-내안-803   
영광    영광김씨제각    061-862-5987    전남 -장흥-용산-운주-461   
영광    월산제영광김씨    061-862-5642    전남 -장흥-용산-모산-250   
교하(金)    교하김씨    055-536-4898    경남 김해시 삼방동 186-2    9nak9@hanmail.net
김해(가락金)    가락진해종친회    055-    경남 진해시 여좌동    alwaysjkim@hanmail.net
언양(金)    언양김씨대종회    02-989-3031~2
항렬표

51세 銓 (사람가릴전)
52세 源 (근원원)
53세 種 (종루종)
58세 根 (뿌리근)
59세 炳 (밝을병)
 
 
 
 
위원회소개이용약관개인정보보호정책제휴문의광고문의
광주광역시 서구 상무민주로 32번길 29 (쌍촌동)     상호명 : 광산탁씨전자족보운영회
단체고유번호: 410-80-40462  대표: 탁인석    전화번호 062-374-0045
© HUMEN Corp.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