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디
비밀번호
회원가입  |  아이디, 비밀번호 찾기
2025년
음 : 03-09
양 : 04-06
서기:2025년
단기:4358년
불기:2569년
위아래 - 세상 끝난 뒤에도 -
 
 home > 뿌리 > 성씨의 유래 

휘 (諱): 유 섭(兪 涉), 직제학(直提學)
    묘 소: 경기도 개성 초덕산

창원 (昌原)은 경상남도(慶尙南道) 남쪽에 위치한 산업도시이며 도청소재지로 고대(古代) 금관가야(金官伽倻: 경상남도 김해지방에 부족국가를 형성하였던 6가야 중의 하나)에 속했었다. 본래 의창현(義昌縣)과 회원현(會原縣)의 합명인데, 의창현은 신라의 굴자현(屈自縣)을 통일신라 때의 경덕왕이 의안(義安)으로 고치고, 회원현은 신라의 골포현(骨浦縣)을 경덕왕이 합포(合浦)로 고쳐서 의안군(義安郡)에 속하게 하였다가 1018년(현종 9) 의안·합포를 모두 금주(金州)에 예속시켰다. 그 후 의안은 의창(義昌)으로 합포는 회원(會原)으로 고쳐서 모두 현령(縣令)으로 승격하였고, 1413년(태종 13)에는 의창현과 합포현을 합쳐 창원부(昌原府)가 되었으며 1895년(고종 32)에 창원군이 되었다.
 1973년 정부의 중화학공업 시책에 따라 창원군의 상남면과 웅남면, 창원면의 일부를 마산시(馬山市)에 편입시키고 1980년에는 창원시가 되었다.

창원 유씨 (昌原兪氏)의 시조(始祖)는 고려에서 정순대부(正順大夫)로 보문각 직제학(寶文閣直提學)을 역임한 유 섭(兪 涉)으로 선계(先系)는 문헌(文獻)의 실전(失傳)으로 상고할 수 없다. 그 후 후손들은 창원(昌原)에 정착 세거(定着世居) 하면서 본관(本貫)을 창원(昌原)으로 하여 세계(世系)를 이어왔다.

가문의 대표적인 인물로는 섭 (涉)의 아들 경( )이 정당문학(政堂文學)을 지냈고, 증손 귀생(貴生)이 조선 초(朝鮮初)에 공부 전서(工部典書)를, 현손(玄孫)  상지(尙智)가 직제학(直提學)을, 그리고 상지의 아들 조(造)는 봉상시정(奉常寺正)을 역임하여 가문(家門)의  번성을 이루었다. 명종(明宗) 때 효자(孝子)로 명성을 떨쳤던 언겸(彦謙)은 문화 현령(文化縣令)으로 나가 선정(善政)을 베풀어 청백리(淸白吏)에 녹선되었고, 호조 참판(戶曹參判)과 개성부 유수(開城府留守)를 지낸 창( )과 그의 아들 득일(得一)은 대사헌(大司憲)·형조 판서(刑曹判書)에  이르렀으며, 경종(景宗) 때 형·공조 판서(形·工曹判書)를 역임하고 기로소(耆老所)에 들어간 집일(集一) 등이 당대에  뛰어났다. 이 외에도 장령(掌令)을 거쳐 필선(弼善)을 지낸 신일(信一)과 영조(英祖) 때 사마양시(司馬兩試)에 장원(壯元)으로 급제하여 관찰사(觀察使)를 거쳐 대사헌(大司憲)에 오른 숭(崇)이 창원 유씨(昌原兪氏)의 가문(家門)을 더욱 빛냈다.

1985년 경제기획원 인구조사 결과에 의하면 창원 유씨(昌原兪氏)는 남한(南韓)에 총 2,361가구, 9,971 명이 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원회소개이용약관개인정보보호정책제휴문의광고문의
광주광역시 서구 상무민주로 32번길 29 (쌍촌동)     상호명 : 광산탁씨전자족보운영회
단체고유번호: 410-80-40462  대표: 탁인석    전화번호 062-374-0045
© HUMEN Corp.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