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조는 고려 고종 때의 무인 조연벽 (趙連璧)이다.
김제읍 용두동(지금의 옥산동)에서 태어난 조연벽은 무예가 뛰어나 장수의 재목으로 꼽혔다고한다.
군인으로 벼슬길에 나선 그가 역사에 이름을 남긴 것은 1231년(고려 고종 18년) 몽고의 살리타이가 참략했을 때 대장군으로 임명된 그는
부장(副將) 김윤후(金允侯)와 함께 처인성(處仁城 : 현 경기도 용인)에서 몽고군을 소탕하고 살리타이를 사살하여 무적 몽고군에 패전의 치욕을
안기면서 고려 무사의 기개를 만천하에 떨쳤다. 이 공으로 조연벽은 상장군이 되고 벽성군(碧城君)에 봉해졋다.
그가 태어난 김제시 옥산동 벽골제(碧骨堤) 연못에 얽힌 유명한 전설이 전해지고 있다.
조연벽은 젊어서 무예가 뛰어나 장수의 재목으로 꼽혀왔는데, 어느 날 꿈에 나타난 벽골제 수호신인 흰 용의 부탁을 받고 벽골제를 빼앗으로 온
검은 용을 활로 쏘아 쫓아 주었다. 이때 검은 용이 떨어뜨리고 간 비늘을 나라에 진상하여 크게 이름을 떨쳤고, 연벽의 도움으로 벽골제 연못을
지키게된 흰 용이 그날밤 꿈에 다시 나타나 "장군의 도움으로 영원히 벽골제에 살 수 있게 되었으니 그 보답으로 자손들의 융성을 누릴
수 있도록 하겠노라"고 보은의 약속을 했다고 한다.
그래서인지 그의 아들 3형제가 모두 뛰어나 가문의 번영을 이어왔다.
벽성은 그가 태어난 김제의 옛이름으로 후손들이 김제를 본관으로 하고 있다.
시조의 묘소는 전북 김제시 입석동에 있으며, 매년 음력 3월 3일에 향사하고 있다.
시조 조연벽 (趙連璧)이 벽성(김제의
옛이름)군으로 봉해졌으므로, 본관(本貫)을 김제(金堤)로 삼아 세계(世系)를
이어왔다.
전라북도 서쪽에 위치한 고장으로 , 본래
백제(百濟) 시대에는 벽골(碧骨)로 불리웠으며, 통일신라(統一新羅) 때 김제(金堤)가
되었다.
시조 조연벽은 세 아들을 두었는데 모두가
현달하여 가문의 기틀을 다졌다 .
맏아들 조기(趙岐)는 아버지의 뒤를 이어 고려의 무인이 되어 잇단 몽고의 침략에 맞서 싸우며 대호군에까지 올랐고,
둘째 조서(趙瑞)는 문인이 되어 국자감진사에 뽑혔고, 세째 조간(趙簡)은 시문에 천재적 재질을 보여 벼슬이 문하시중과 우의정에 까지 이르렀다.
조선에서는 충청도병마절도사를 지낸 조의(趙義), 그의 아들 호조판서에 오른 조숭지(趙崇智), 병조판서이며 중종반정의 공신으로 마천군에 봉작을
받은 조숭지의 아들 조원윤(趙元倫) 등이 두드러진다. 또한 인조조 李괄의 난 때 대공을 세워 공신록에 책록된 조시준(趙時俊), 호조참의를
역임한 조덕술(趙德述)도 가문을 빛낸 인물이다.
조선 문종 때 평안감사를 지낸 조수양(趙遂良)은 수양대군이 왕위에 오르고 단종을 내쫓자 벼슬을 버리고 영월까지 단종을 따라가 극진히 보살피다가
단종이 죽자 목숨을 끊은 절신이다. 옛임금을 쫓아 두 임금을 섬기지않는 절개를 지켰기에 오늘까지 영월 단종의 제사에는 그를 웃자리에 모시고
266명 순절신하들의 제사도 함께 지내 오고 있다.
인조 때 3도수군통제사를 지낸 조필달(趙必達)은 무략이 출중한데다 청렴결백한 성품으로 일생동안 72가지 벼슬을 지내며 뛰어나 목민관으로 꼽혔고,
효종, 숙조 때에는 북진계획을 추진한 진취적인 인물이었다.
대호군파 (大護軍派)
문양공파(文良公派)
1985년 경제기획원 인구조사 결과에
의하면 김제조씨(金堤趙氏)는 남한에 총 5,923가구, 26,461명이 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충남 청양군 비봉면 양토리
전북 김제군 월촌면 일원
전북 김제군 죽산면 종신리
전북 김제군 김제읍 일원, 용지면 일원
전북 정읍군 이평면 창동리
양주 양주조씨대종회 02-980-1332 서울
강북 -번-123-1(양주조씨회관)
임천 임천조씨종친회 02-722-1121 서울 중 -삼각-39(신우공사라이타창구)
한양 한양조씨 대종회 02-3675-7136 서울 특별시 종로구 충신동
120번지
평양 평양조씨대종회 02-2293-1295 서울 -성동-마장-474-8(3층)
풍양 풍양조씨대종회 02-576-3701 서울 -강남-포이-231-11...(풍양빌딩5층501호)
풍양 풍양조씨한산군파종증 02-885-4893 서울 -관악-봉천1-702-111(1동)
한양 한양조씨가산공파종회 02-382-1282 서울 -은평-응암3-119-4
한양 한양조씨대종회 02-2285-4090 서울 -종로-장사-220...(대영빌딩203호)
한양 한양조씨대종회 02-3672-4399 서울 -종로-충신-120-2
한양 한양조씨병참공파종회 02-544-1377 서울 -강남-신사-665-1
한양 한양조씨숭조회 02-514-0064 서울 -강남-신사-665-1
한양 한양조씨한풍군파종회 02-3477-9400 서울 -서초-방배-835...(송광빌딩4층)
함안 함안조씨화수회 02-2275-3109 서울 -중-산림-207...(대림아555호)
함안(趙) 함안청년회 054-292-2821 포항시남구오천읍세계리 jcr1004@sayclub.com
한양(趙) 한양조씨병참공파종회 02-544-1377 서울특별시 강남구
신사동 665-1
한양(趙) 한양조씨병참공파종회 02-544-1377 서울특별시 강남구
신사동 665-1
양주(趙) 양주조씨회관 0166313084 전북군산시중동 261번지19통3반 u2o4@yahoo.co.kr
한양(趙) 감역공파 종회 (031)575-2837 경기도 남양주시 오남읍
양지리 432-6 bus777@chollian.net
양주 양주조씨장령공파종중 031-336-4509 용인 -삼가-428-5
함안(趙) 현감공파 011-9967-4722 hhcho@airport.or.kr
조수량 (趙遂良) : 조선 단종 때 절신(節臣)
조의 (趙義) : 충청도병마절도사를 지냈다.
조원륜 (趙元倫) : 중종 때 정국공신(靖國功臣).
조간 (趙簡)
조수량 (趙遂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