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디
비밀번호
회원가입  |  아이디, 비밀번호 찾기
2025년
음 : 03-10
양 : 04-07
서기:2025년
단기:4358년
불기:2569년
위아래 - 세상 끝난 뒤에도 -
 
 home > 뿌리 > 성씨의 유래 

흥양 (興陽)은 전라남도 고흥군(高興郡) 지방의 조선시대 행정구역 명(名)으로, 고려 초에는 고이부곡(高伊部曲)이라 하였으며, 1285년(충렬왕 11)에 고흥현(高興縣)이라 개칭하고 현감을 두었다. 1395년(태조 4)에 보성군 조양현(兆陽縣)으로 개편되었다가, 1397년에 진(鎭)을 설치하고 병마사(兵馬使)로 현감(縣監)를 겸임하게 하였다. 1441년(세종 23)에는 장흥부(長興府) 두원현(豆原縣)으로 바꾸고, 보성군 남양현(南陽縣)을 분할 편입하여 흥양(興陽)이라 칭하고 현감을 두었다.
1895년(고종 32)군으로 고쳐 군수(郡守)를 두었으며, 1914년 고흥군으로 개칭하였다. 흥양 오씨(興陽吳氏)의 시조(始祖)는 현필(賢弼: 보성 오씨 시조)의 아들인 오광휘(吳光輝)이다.
 광휘의 아들 완(完)은 고려 충무왕 때 문과에 급제하고 문하시랑평장사(門下侍郞平章事)를 지내면서 공이 있어 흥양군(興陽君)에 봉해졌으므로 후손들이 보성 오씨(寶城吳氏)에서 분적(分籍)하여 흥양(興陽)을 본관(本貫)으로 삼아 세계(世系)를 이어왔다.

가문의 인물을 보면 영로 (寧老)가 문과에 급제하고 대사헌(大司憲)·판전농시사(判典農寺事)로 평원군(平原君)에 봉해졌으며 후에 두원군(荳原君)으로 개봉(改封)되었다.
영로(寧老)의 둘째 아들 백창(伯昌)은 추장문과(秋場文科)에 급제하고 경기도 도사(京機道都事)를 거쳐 세조(世祖) 때 예문관 직제학(藝文館直提學)을 역임하였다.
 이어 도총관(都摠管)과 지중추부사(知中樞府事)를 지내고 대사헌(大司憲)에 올랐으며 좌리공신(佐理功臣)으로 흥원군(興原君)에 봉해졌다.
이 외 순손(順孫)이 좌찬성(左贊成)에 오르고, 식(植)과 중헌(重憲)이 부호군(副護軍)을, 계립(繼立)이 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를 역임하여 흥양 오씨(興陽吳氏)의 가문을 빛냈다.

1985년 경제기획원 인구조사 결과에 의하면 흥양 오씨(興陽吳氏)는 남한(南韓)에 총 416가구, 1,730명이 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원회소개이용약관개인정보보호정책제휴문의광고문의
광주광역시 서구 상무민주로 32번길 29 (쌍촌동)     상호명 : 광산탁씨전자족보운영회
단체고유번호: 410-80-40462  대표: 탁인석    전화번호 062-374-0045
© HUMEN Corp. All Rights Reserved.